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5월 신간 에세이) "답사의 신 조선왕릉에 가다" - 이재은 작가

스토리로즈

by 스토리9 2025. 5. 3. 18:25

본문

도서명: 답사의 신 조선왕릉에 가다

출판유형: POD

 

답사의 신 조선왕릉에 가다 | 이재은 - 교보문고

답사의 신 조선왕릉에 가다 | 2009년 6월, 조선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되는데 첫째로는, 조선왕조가 518년

product.kyobobook.co.kr

ISBN /  발행일 / 쪽수

9791198890795
2025년 04월 17일
222쪽

 

책 소개

2009년 6월, 조선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되는데 첫째로는, 조선왕조가 518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되었고, 27명의 왕과 왕비의 무덤 44기와 왕실 가족 무덤까지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는 점이고, 둘째로는, 유교, 불교, 도교, 풍수지리 등 다양한 동양의 전통 사상과 세계관이 반영된 독창적인 건축양식과 장묘 문화는 ‘신(神)의 정원’이라 불릴 만큼 고유의 미학적 가치가 있다는 점이다. 셋째로는, 조선왕릉 조성의 근간이 된 기록물들과 의궤 등 풍부한 사료가 온전하게 보존된 것도 그 이유였다.

이 책에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전국의 40기 조선왕릉에 대한 내용이 실려있다. 아이들과 답사를 갈 때 혹은 아이가 아니더라고 친구들과 동료들과 힐링을 위한 답사를 계획할 때도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물론 기분 전환을 위해 혼자 답사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독자분에게도 안성맞춤이다.

그리고 해당 문화재뿐 아니라 그 지역의 역사, 지리, 문화, 전통, 설화 등을 함께 이해함으로써 보다 기억에 남는 흥미 있는 답사의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또한 국보와 보물 위주로 작성되어 있어 한국사 공부에도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자(글) 이재은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여 초등 교단에 선 지 20년 차 교사이다. 임용 연도부터 시작한 청소년 단체 활동(스카우트)을 통해 수많은 어린이, 청소년들과 함께 답사 여행을 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전국 8도 우리땅 밟기』 행사를 시작하여 전국 8도의 모든 곳을 답사 다니면서 학생들을 위한 답사 프로그램 제작에 힘 쏟고 있다. 또한 독자분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국가유산 답사기를 집필하고 있다.

 

목차

0. 답사의 신, 조선왕릉(王陵)에 가다! - 조선왕릉 답사 길잡이 -

1.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王陵)
2. 고구려의 왕릉
3. 백제의 왕릉
4. 신라의 왕릉
5. 고려의 왕릉
6. 조선왕릉
7. 조선왕릉의 형식
8. 조선왕의 건강
9. 조선왕의 장례 절차
10. 조선왕릉의 공간 구성

1. 조선왕릉 알아보기 『동구릉(東九陵)』 - 경기도 구리 -
1. 조선 창업 군주 태조의 능, 『건원릉(健元陵)』
2. 추존된 문조(효명세자)와 신정왕후의 능, 『수릉(綏陵)』
3.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 『현릉(顯陵)』
4. 선조와 의인왕후, 인목왕후의 능, 『목릉(穆陵)』
5. 인조의 두 번째 왕비 장렬왕후의 능, 『휘릉(徽陵)』
6. 영조와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의 능, 『원릉(元陵)』
7. 헌종과 효현왕후, 효정왕후의 능, 『경릉(景陵)』
8. 경종의 비 단의왕후의 능, 『혜릉(惠陵)』
9.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 『숭릉(崇陵)』

2. 조선왕릉 알아보기 『서오릉(西五陵)』 - 경기도 고양 -
1. 숙종과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 『명릉(明陵)』
2.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경릉(敬陵)』
3. 숙종의 첫 번째 왕비, 인경왕후의 능, 『익릉(翼陵)』
4. 영조의 첫 번째 왕비, 정성왕후의 능, 『홍릉(弘陵)』
5. 예종과 안순왕후의 능, 『창릉(昌陵)』

3. 조선왕릉 알아보기 『서삼릉(西三陵)』 - 경기도 고양 -
1. 중종의 비 장경왕후의 능, 『희릉(禧陵)』
2. 인종과 인성왕후의 능, 『효릉(孝陵)』
3. 철종과 철인왕후의 능, 『예릉(睿陵)』

4. 조선왕릉 알아보기 『헌인릉(獻仁陵)』 - 서울 서초구 -
1. 순조과 순원왕후의 능, 『인릉(仁陵)』
2.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의 능, 『헌릉(獻陵)』

5. 조선왕릉 알아보기 『영릉(英陵)과 영릉(寧陵)』 - 경기도 여주 -
1. 세종과 소헌왕후의 능, 『영릉(英陵)』
2. 『석보상절(釋譜詳節)』
3.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 『영릉(寧陵)』

6. 조선왕릉 알아보기 『융건릉(隆健陵)』 - 경기도 화성 -
1.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왕후(혜경궁 홍씨) 능, 『융릉(隆陵)』
2.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閑中錄)』
3. 정조와 효의왕후 능, 『건릉(健陵)』

7. 조선왕릉 알아보기 『선릉(宣陵)과 정릉(靖陵)』 - 서울 강남구 -
1. 성종과 정현왕후의 능, 『선릉(宣陵)』
2. 중종의 능, 『정릉(靖陵)』

8. 조선왕릉 알아보기 『태릉(泰陵)과 강릉(康陵)』 - 서울시 노원구 -
1. 문정왕후의 능, 『태릉(泰陵)』
2. 명종과 인순왕후의 능, 『강릉(康陵)』

9. 조선왕릉 알아보기 『정릉(貞陵)과 의릉(懿陵)』 - 서울시 성북구 -
1. 신덕왕후의 능, 『정릉(貞陵)』
2. 경종과 선의왕후의 능, 『의릉(懿陵)』

10. 조선왕릉 알아보기 『사릉(思陵)과 광릉(光陵)』 - 경기도 남양주 -
1. 정순왕후의 능, 『사릉(思陵)』
2.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광릉(光陵)』
3. 『석보상절(釋譜詳節)』

11. 조선왕릉 알아보기 『홍릉(洪陵)과 유릉(裕陵)』 - 경기도 남양주 -
1.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 『홍릉(洪陵)』
2. 순종과 순명황후, 순정황후의 능, 『유릉(裕陵)』

12. 조선왕릉 알아보기 『온릉(溫陵)』 - 경기도 양주 -
1.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의 능, 『온릉(溫陵)』

13. 조선왕릉 알아보기 『삼릉(三稜)』 - 경기도 파주 -
1. 예종의 비 장순왕후의 능, 『공릉(恭陵)』
2. 성종의 비 공혜왕후의 능, 『순릉(順陵)』
3. 추존 진종과 효순왕후의 능, 『영릉(永陵)』

14. 조선왕릉 알아보기 『장릉(長陵)』 - 경기도 파주 -
1.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 『장릉(長陵)』

15. 조선왕릉 알아보기 『장릉(章陵)』 - 경기도 김포 -
1.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의 능, 『장릉(章陵)』

16. 조선왕릉 알아보기 『장릉(莊陵)』 - 강원도 영월 -
1. 단종의 능, 『장릉(莊陵)』

 

 

관련글 더보기